2 minute read

What is money

돈은 빚이다. EBS 다큐멘터리

물가는 왜 오르기만 하는가?

  • 공급과 수요의 법칙
  • 늘어나는 돈(통화)의 양

지난 50년간 돈의 양이 늘어났다.

양적완화, 통화팽창

금융 자본 주의

  • 조폐공사에서 찍어내지만 극히 일부분
  • 지폐 혹은 동전만이 돈이 아님. 보이지 않는 돈이 은행에 있다.

  • 은행에 대한 막연한 생각

  • 정부와 은행의 약속

  • 100원 중 10원은 남기고 90원은 대출해줄 수 있다.
은행은 무엇인가?
  • 10%: 부분 지급 준비율
금 세공업자의 아이디어
  • 금화를 금고에 저장
  • 사람들은 세공업자의 금고에 금을 맡김
  • 고객의 금화를 빌려주고 이자를 받음
  • 고객에게도 사실을 알리고 이자를 나눠가짐
  • 금세공업자는 금고에 없는 돈을 빌려주기 시작, 10배나 많은 금을 빌려줌
  • 현재 10% 지급 준비율의 기준이 됨
  • 세공업자는 은행가로 변신
  • 돈을 다 찾아가버려 Bankrun 한까번에 돈을 찾는 현상이 일어남
  • 금융 위기 때 생기는 현상
  • 영국 왕실은 금화가 많이 필요해짐
  • 가상의 돈을 거래할 수 있는 권한을 줌
  • chartered : 면허받은, 공인된
  • 약 300백년 전 영국 왕실은 금 보유량의 3배까지 대출해 줄 수 있도록 허가해 줌
  • 현대 은행에도 그대로 지급 준비율이 적용되고 있음
  • 90% 빌려준 돈은 신용통화라고 함
  • 총 190%가 통화량이 됨
  • A은행에서 B은행으로 90%, C은행으로 90% … 최대 1000억이 생김
  • 모든 돈은 신용
  • 고객이 대출해가야 은행은 새로운 돈이 생김
  • 지급 준비율이 낮을수록 많이 불릴 수 있음
  • 우리나라 3.5% 내외
  • 5000억원 -> 6조60억원

통화량이 늘어난 만큼 물가가 올랐음

인플레이션(통화팽창) : 돈이 많아져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

원금은 중앙은행이 준다

  • 중앙은행도 돈을 불린다
  • 중앙은행은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한다. 이자율 통제, 화폐 발행
  • 중앙은행의 이자율 조절 - 경기 부양을 위해 쓰는 방법

양적완화: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려도 효과가 없을 때 직접 돈을 찍어내는 것

  • 로저 랭그릭의 논문
  • 이자는 어디에서 오는가?
  • 누군가가 이자를 갚으려면 더 찍어내는 수 밖에 없다
  • 통화가 많아지고 인플레이션이 온다

100조달러 지폐 짐바브웨 2008년에 사용됨

  • 하이퍼인플레이션, 무가베 대통령 정책 문제

새로운 천년을 위한 통화 시스템: 로저 랭그릭

  • 이자를 갚으려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와야 한다.
  • 빚 보전 법칙

  • 누군가가 빚을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한다
  • 자본주의 사회는 경쟁이 필연적

팽창이 멈추는 순간 대량 부도상태, 파산 - 디플레이션

  • 통화량 축소로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
  • 기업 위축, 투자 축소
  • 경제에도 계절이 있다.

  • 금융위기가 언제 올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예측할 수 있다.
  • 장기 순환 주기 48~60년
  • 콘트라티예프 파동
  • 우리 아버지 세대는 상승곡선일 때(여름) 집값이 계속 오를 때 사셨음
  • 지금은 하강곡선

미국과 우리 경제와의 관계

  •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
  • 기축통화: 국제거래에 통용되는 결제 수단, 달러
  • 금 태환 제도
  • 브레튼우즈 협정
  • 1971 금 태환제 철폐
  • 1971 이전/이후 달러가 다름
  • 1971 이전 달러는 금으로 바꿔준다고 적혀있음
  • 달러는 민간은행이 찍어낸다, 미국 연방준비은행(중앙은행)이 찍어냄
  • 한국은행은 정부 기관이지만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민간 기업이다. 정부도 FRB에서 돈을 빌려야 한다.
  •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다
  • 돈의 흐름을 알려면 미국의 금융정책을 알아야 한다

미국의 정책을 알아야 하고, 우리나라의 정책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야 한다.